활동소식
2018년 중간지원 네트워크 컨퍼런스
2018-10-05

2018년 10월 4일 대전광역시NGO지원센터 모여서100에서


대전지역 중간지원조직에 대한 개념 정의 및 현재 다양한 활동을 공유하고 새로운 중간지원 활동 네트워크를 통한 시민사회 활성화 모색을 위해


중간지원 네트워크 컨퍼런스가 열렸습니다.



접수를 받는 동안 안에서는 우리 얼마나 관계 맺고 있을까? 라는 주제로


참가자들이 명함을 가지고 와서 관계망 그리기


우리 지역사회에서 우리가 얼마나 관계맺고 네트워킹이 되어있는지를 그려보는 짧은 코너가 있었습니다.



관계가 없을 것 같으면서도 이어져있는 관계도를 보며 서로 웃으면서 잠깐 이야기는 시간도 가졌는데요!


그만큼 가까우면서도 멀다고 느껴지는 관계도였습니다.



컨퍼런스 시간동안 출출하지 않게 맛있는 간식까지 준비되어 있습니다!



열심히 접수를 받는 중입니다.


간단하게 이름표도 만들어 누군지를 소개하며 토론과 그룹활동을 위해 그룹도 배정했습니다.



대전광역시사회적자본지원센터의 송엄지선생님의 사회로


아이스브레이킹 및 컨퍼런스 소개가 되었습니다.



충남마을만들기 지원센터의 구자인연구위원의 지역발전을 위한 중간지원조직 연대와 협력이라는 주제로 강의가 시작되었습니다.


"충남마을이 어떻게 보면 시골일지 몰라도 도시와 비교해보면 분명 더 나은 부분과 비교해야 할 부분이 존재한다."고 말하셨고


그 안에서는 환경운동을 지역주민운동이라고 칭한다는점이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또한 문제제기로 왜 중간지원조직인가? 에 대해서 말하며


"현장활동은 어떻게 지원할것인가?", "행정사업을 누구를 통해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


"행정역할은 무엇인가?민간단체 역할은 무엇인가?"를 함께 이야기해나갈 수 있는 시간이 있었고


자치단체 민관협치형 지원 시스템 구축 10대 핵심과제에 대해서도 이야기 해주셨습니다.


그리고 중간지원조직에 관해서만 이야기하지 않으시고 중간지원조직을 담당하는 과에 관하여 이야기 하시며


공무원 순환보직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도입되어야 한다며


양측의 입장을 비교하며 설명해주셔서 더욱 귀에 쉽게 들어오는 강의였습니다.



이어서 장용석 대전광역시 사회적자본지원센터장님 사회아래 중간지워조직이란?, 중간지원조직 네트워크 필요한가? 그리고 어떻게 할것인가? 에


대해서 간단하게 조별로 이야기를 나누는시간을 가졌고 워크숍 결과와 그룹별 발표가 이어졌습니다.



이후 간단하게 Q&A 받는 시간을 가지며 컨퍼런스 소감나누는 시간으로 마무리 되었습니다!



토론된 내용의 발표를 들어보니 생각보다 모든 그룹에서 비슷한 이야기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아래 내용은 그룹 토론 중 한 그룹의 토론된 내용입니다!




  1. 중간지원 조직이란?













































대표

키워드
키워드부가설명
지원지원, 조력, 필요할 때 옆에 있기, 서포터, 촉진자단체들이 필요할 때 가장 가까이에서 도움을 주고 지원하는 조직
균형딱 중간(행정, 사업 네트워크 등 너무 잘해도 혹은 적극적이어도 안됨), 균형잡기, 연결자행정과 단체들 사이에서 균형을 잡으며 서로에게 도움을 주어햐 하는 조직(누구의 편도 아니지만 모두의 편이어야 함), 단체들에게 균등한 기회를 제공해야 하는 조직.
소통열린과정공유, 소통창구, 소통자행정과 단체와도 항상 소통해야 하는 조직
멘토링멘토행정은 단체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하고 방향성만 있고 방법을 모르는 단체에게는 방법을 제시해주어야 하는 조직
발굴사업발굴행정과 단체가 요구하는 새로운 사업을 발굴하는 조직
역량역량강화다양한 기대를 받기에 지속적인 역량강화가 필요한 조직
홍보홍보행정과 단체를 서로에게 그리고 시민들에게 홍보하는 조직


  1. 중간지원 조직의 좋은점과 나쁜점



































좋은점나쁜점부가설명
가까운행정복잡한행정처리, 사업비집행행정과 함께 일하면서 발생하는 부분
존재감위치의 애매모호, 교육의 부재, 변신의 능력행정과 단체 중간에서 일을 한다는 데에서 발생하는 부분
낮은문턱, 네트워킹소통의 어려움, 늘어나는 일거리많은 기관, 단체들과 함께 일하는 데에서 오는 부분
변화, 주도권, 업무성취감, 기대감관료화행정과 단체의 유기적인 업무진행을 위하여 생성된 조직임에도 결국 유사한 업무의 반복으로 변화되는데에서 오는 부분
지속가능여부조직의 안위성과 직장으로서의 안정성에 대한 문제